▷ 2023년 국내 GDP 2022년보다 1.4% 성장
▷ 건설투자와 설비투자에서 반등 성공했으나... 소비 성장률이 부진
▷ 지난해 12월 아시아개발은행 전망치(1.4%)와 어느 정도 부합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3년 우리나라 경제는 전년대비 1.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의 ‘2023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2022년보다 1.4% 증가했습니다. 2021년(4.3%)과 2022년(2.6%)의 상승폭에 비해선 부진했는데요.
GDP 연간 성장률을 분야 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수출과 수입 등 대부분의 성장폭이 2022년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2022년에 4.1%의 증가세를 보였던 민간소비는 2023년에 1.4%로 크게 줄어들었고, 정부소비는 4.0%에서 1.3%로 감소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출은 3.4%에서 2.8%, 수입은 3.5%에서 3.0%로 하락했는데요. 그나마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2022년 당시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바 있습니다. 각각 -2.8%, -0.9%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던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2023년에 1.4%, 0.5% 성장했습니다.
경제 활동 별로 살펴보면, 제조업과 건설업, 서비스업은 2023년 GDP 성장폭이 플러스를 기록한 반면, 농림어법과 전기가스수도사업은 마이너스를 나타냈습니다. 특히, 전기가스수도사업의 경우 -4.5%의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1.4%라는 2023년 GDP 성장세는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의 전망과 어느 정도 부합합니다. 지난해 12월 13일, 아시아개발은행이 발표한 ‘2023년 아시아경제전망’(Asian Development Outlook, ADO)에 따르면, 아시아개발은행은 한국의 2023년 GDP 성장률을 1.3%로 예측했습니다.
2024년에 대해서는 2.2%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는데요. 당시 아시아개발은행은 우리나라 성장률에 대해 수출 회복 등 상방요인과 함께 국제적 경제 불확실성 등 하방요인이 혼재되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에 한정되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아시아개발은행은 아시아 지역의 위험요인으로서 미국과 유로존 등 선진국의 통화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엘니뇨와 일부지역 식량수출 규제, 중국 부동산 시장 등을 거론했습니다.
한편, 세계은행은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2.4%로 내다보았습니다. 지난 1월 9일에 발표된 ‘세계은행 세계경제전망’(World Bank Global Economic Prospects)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지난해 6월에 전망한 것과 똑같이 2024년 세계경제는 2.4%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이어지고 있고 지정학적 리스크도 곳곳에서 불거지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세계은행은 2022년부터 2024년간 3년 연속으로 성장폭이 둔화될 것으로 보았습니다. 2025년에는 소폭의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며, 2.7%의 성장률을 예상했는데요. 세계은행은 물가안정에 따른 통화정책 완화 가능성은 긍정적이나, 지정학적 긴장, 무역규제 강화, 中경기둔화 등 하방요인이 아직 지배적이라고 분석했는데요.
아시아개발은행과 세계은행이 공통적으로 언급한 요인 중, 중국의 경제 상황은 우리나라로서는 특히나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출의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한국은행 북경사무소가 지난 18일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2023년 경제성장률은 전년대비 5.2%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3.0%)보다 2.2% 상승한 규모인데요. 한국은행은 “2023년 중국경제는 시장 예상과 당국 목표에 대체로 부합하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비교적 선방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나, 일각에서는 수요 부족 등 내재적 취약성도 함께 기록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성장의 중심을 첨단산업으로 옮기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대내외적으로 수요가 부족하고 부동산 시장의 부진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는 등 중대한 도전 요인이 남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한국은행 曰 “시장에서는 중국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를 5% 정도로 제시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으나, 대내외 수요 여건이 빠르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면서 목표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실질 담배 판매량 0.8% 증가... 담뱃값 인상될까? (1) | 2024.01.31 |
---|---|
"금융소비자 보호하겠다"... 보험사기방지특별법과 자본시장에 관한 법률 국회 통과 (2) | 2024.01.26 |
"평생 믿었던 은행이 등에 칼을 꼽은 것"...언성 높인 홍콩 ELS 피해자들 (0) | 2024.01.24 |
2023 세법개정안 시행령 임박... 세수 공백은 어떻게? (0) | 2024.01.23 |
12월 생산자물가지수 증가세... 사과·딸기 등 농산품이 견인 (0)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