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 대비 10.8% 증가…오프라인 0.2%↓, 온라인 22.2%↑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올해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이 오프라인(-0.2%) 소폭 감소한 반면 온라인은 22.2%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1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4월 국내 주요 오프라인 유통업체 13개사와 온라인 유통업체 12개사를 대상으로 월간 매출액을 조사한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 28일 밝혔습니다.
4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편의점(5.9%), 준대규모점포(3.2%)에서 상승세를 보였지만,대형마트(-6.7%), 백화점(-2.0%)에서 하락세를 보이면서 전체 매출은 0.2% 감소했습니다.
오프라인 품목별로는 식품(1.7%)∙서비스/기타(5.0%)를 제외한 가전/문화(13.2%)∙아동/스포츠(4.5%) 등 대부분 품목에서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온라인의 경우, 가전/문화(13.2%)∙식품(28.1%)∙생활/가정(19.0%)∙서비스/기타(54.4%) 등 모든 품목에서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온라인 유통은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글로벌 이커머스 업계에 대응한 다양한 할인 행사를 개최하면서 패션/의류(-4.1%)를 제외한 식품(28.1%), 생활/가구(19.0%), 서비스/기타(54.4%) 등 모든 품목에서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해 전체 매출이 2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통부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오프라인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휴일 감소와 지난해 4월에 집중됐던 대규모점포의 할인행사들이 올해는 분산되면서 전체적인 매출이 감소했으며, 온라인은 글로벌 이커머스 업계에 대응한 다양한 할인행사와 여행∙배달 등 서비스 수요, 간편식 판매가 강세를 보이면서 매출이 상승됐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면서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초저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 기업 메조미디어가 지난 28일 내놓은 ‘2024년 소비 트렌드 시리즈, 초저가 소비’ 리포트에 따르면 물가 부담이 높아질수록 소비자들은 상품의 여러 요소를 따져보고 조금이라도 저렴한 제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고물가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소비자들이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노력하는 분석 소비에 피로감을 느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소비자들은 의류부터 공구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파격적인 가격으로 할인 판매하는 C-커머스를 활용하거나 가성비 높은 제품이라면 브랜드를 과감하게 포기하는 소비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함께 초저가 커머스들의 약진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주요 C-커머스 업체인 알테쉬는 22년 대비 24년 이용자 수가 458% 증가했으며, 중국 직구 시장의 규모는 23년 3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아성다이소 또한 3년간 매장 수를 129개 증가하며, 외형 확대를 하는 동시에, 화장품 카테고리 인기에 힘입어 23년 연매출 3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 같은 유통업계의 초저가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국내 업체들도 가격을 강조하는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롯데하이마트는 PB브랜드 ‘하이메이드’에서 20만원대 가성비 냉장고를 출시해 가성비와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심리 공략에 나섰으며, 홈플러스는 가성비 높은 대용량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1만원 초반대 가격에 3~4인 가족이 먹을 수 있는 대용량 즉석조리제품 ‘대짜’ 3종을 출시했습니다.
이밖에도 11번가는 소비기한이 임박했거나 재고가 과다하게 남은 제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임박마켓’ 서비스를 오픈했으며, 뷰티컬리는 ‘뷰티컬리페스타’ 기획전을 열고 ‘최저가 챌린지’에 나섰습니다.
글로벌적 인기 구가하는 카카오 웹툰∙웹소설 앱…이유는? (0) | 2024.05.23 |
---|---|
국토부, 전국 6곳에 자율주행 서비스 운영비 20억원 지원...자율주행산업 경쟁력 제고 (1) | 2024.03.26 |
침체하는 목재산업... 산림청, "지원 강화하겠다" (0) | 2024.03.20 |
매크로 이용한 ‘암표 팔이’ 22일부터 처벌 받는다…’최대 징역 1년’ (1) | 2024.03.18 |
"드론 테러 원천차단"...드론 무력화 기술이 한자리에 (0)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