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대비 0.01% 상승...26주만에 상승 전환
▷브랜드 아파트, 수요자들의 높은 선호 받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수도권을 중심으로 거래가 살아나면서 전국 아파트값이 반년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23일 발표한 '5월 셋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0.01%) 대비 0.01% 오르며 지난해 11월 4째 주 이후 26주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02% 오르며 4월 둘째 주(0.01%)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상승했습니다. 지방은 보합(0.00%)을 기록하며 26주 만에 하락세를 멈췄습니다. 서울은 0.05% 오르며 전주(0.03%)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습니다.
전국의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대비 0.07% 오르며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서울(0.07%→0.10%), 경기(0.07%→0.11%), 인천(0.12%→0.22%) 등 수도권(0.08%→0.12%)의 상승 폭이 확대됐습니다.
지방도 0.02% 오르며 상승 전환했습니다. 지난 1월 셋째 주 하락 전환한 이후 19주 만입니다. 지방에서는 5대 광역시(0.01%)와 8개도(0.03%) 모두 상승 전환했습니다. 세종(-0.04%)은 매물 적체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됐습니다.
이와함께 부동산 시장 불확 속 청약 시장에서 여전히 브랜드 아파트가 수요자들의 높은 선호를 받고 있습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올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20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 전국에는 총 121개 단지, 4만7624가구(특별공급 제외)가 공급됐으며 이 중 10대 건설사는 52개 단지 2만6,720가구를 분양했습니다. 그 외 건설사는 69개 단지 총 2만904가구가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서 시공능력평가 1~10위 건설사들의 전국 1순위 평균 경쟁률은 7.48대 1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건설사 1순위 평균 경쟁률인 3.15대 1과 비교하면 약 2.4배 높은 수치인 것입니다.
이처럼 10대 건설사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이 다른 건설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브랜드 파워의 차이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브랜드 신뢰도, 품질, 인지도, 평면, 설계, 설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상승 기대감도 더 크기 때문에 많은 수요자들이 10대 건설사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입니다.
5월 서울 빌라 경매건수 늘어..."빌라 기피현상 때문" (0) | 2024.05.28 |
---|---|
"종부세 개혁하자"는 고민정 의원 말에... 여당은 "적극 환영" (1) | 2024.05.28 |
'숭인시장'이 고층 복합건축물로, '미아사거리' 개발 여건 크게 개선한다 (0) | 2024.05.22 |
5월 성수기 물량 쏟아져...전국 3만6000가구 (0) | 2024.05.07 |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하니 낙찰가율도 올라 (1)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