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김' 가격 무섭게 올랐다... "생산 늘려도 증가할 것"

경제/경제일반

by 위즈경제 2024. 5. 9. 16:51

본문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관측 결과, 물김 위판가격 kg 당 2,362원... 도매가격도 상승세
▷ 5월 김밥용김 도매가격 10,100원 ~ 10,300원 전망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검은 반도체'라는 별명을 갖고 있을 정도로, 수출 효자 상품으로 등극한 '김'의 물가 상승세가 무섭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의 '2024년 5월 양식관측 해조류' 보고서에 따르면, 4월 물김 산지 위판가격이 kg당 평균 2,362원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 비해선 가격이 7.7% 감소하긴 했습니다만, 지난해 및 평년보다 비싼 겁니다. 전국 평균으로 따지면 전년동월대비 141.1%의 가격 상승률입니다. 지역 별로 봐도, 충남지역의 물김 위판가격은 전년동월대비 무려 428.1%나 상승했습니다. 경기(277.1%), 고흥(249.2%), 해남(151.5%) 등 전국 대부분의 생산지에서 물김 위판가격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모양새인데요. 위판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도매가격 역시 상승세입니다.

 

4월 김도매가격은 전월보다 소폭 상승한 속당 1만원 대를 기록했는데요. 이 중 김밥용 김의 경우 전국 평균 도매가격이 10,089원으로 전년동월대비 80.1% 늘어났습니다. 돌김이나 파래김, 재래김 역시 가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김의 가격이 계속해서 올라가는 이유는 높은 수요 때문입니다. 4월 김 생산량이 작년 대비 14.8%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김의 재고량은 같은 기간 동안 오히려 줄어들었습니다. 4월 김 재고량은 지난해 및 평년 동월에 비해 각각 25%, 37.4% 적었으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김의 5월 재고량은 10% 이상 줄어든 4,400만 속으로 예상했습니다. 늘어나는 생산량에 못지 않게, 수요가 튼튼하다는 겁니다. 수출도 마찬가지입니다. 4월 김 수출량은 전월에 비해 3.1% 증가한 1,007만 속을 기록했습니다. 수출단가는 지난해보다 47.4% 뛴 1억 117만 달러, 김은 태국과 일본, 미국, 러시아, 대만 등에서 활발하게 팔리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5월의 김 생산량은 늘어나고, 수출량은 줄어들 것이라 예측한 반면, 그 가격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5월 김밥용김의 도매가격에 대해 4월보다 소폭 증가해 속당 10,100원~10,300원 대로 예측했으며, 6월의 도매가격 또한 지난해 대비 높은 가격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았는데요. 

 

계속해서 치솟는 김의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주요 마른김 가공업체 8개사와 전남도청, 충남도청 등 유관기관을 불러모아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가공업계에 김 시장 안정화를 위한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물김을 가공하여 상품화하는 과정에서, 물가가 높게 형성될 것을 우려한 건데요. 이와 함께, 정부는 마른김 업계가 겪고 있는 원초 가격 및 경영비 상승 문제 등을 완화히기 위해 김 양식면허지 확대, 마른김 가격할인, 수매자금 지원, 수입김 관세 인하 등의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정부는 김 가격 안정화를 위해, 물김 생산이 시작되기 전까지 면밀한 시장 모니터링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일부 업체에서 유통시장을 교란하는 행위가 적발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조사하여 불공정한 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曰 “김 생산·가공·유통업계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포함하여 민·관 협력을 토대로 김 가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 김 산업은 소비자의 사랑으로 자란 효자산업인 만큼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하도록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