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세계로 홀린 한류의 힘…10명 중 7명 K콘텐츠에 ‘긍정적’

사회/사회 일반

by 위즈경제 2024. 4. 2. 14:47

본문

▶문체부, ‘2024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 발표
▶10명 중 7명 한국 문화콘텐츠에 호감

(출처=페이스북 SMTOWN)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해외 주요 국가의 한류 콘텐츠 이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명 중 7명이 한국 문화콘텐츠에 호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체부는 2일 ‘2024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3년 기준)’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문화콘텐츠가 전반적으로 마음에 드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마음에 듦(호감)’으로 응답한 비율은 68.8%로 나타났습니다.

 

호감 비율이 높은 국가는 인도네시아(86.3%), 인도(84.5%), 태국∙아랍에미리트(83.0%), 베트남(82.9%) 순으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전과 비교해 한국 문화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묻는 질문에는 89.4%가 증가(45.9%) 혹은 비슷(43.5%)하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증가 비율이 높은 국가는 이집트(67.6%), 인도(67.1%), 사우디아라비아(65.1%) 순으로 중동 국가에서 지난 1년간 한국 문화콘텐츠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 ‘케이팝(17.2%)’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부터 7년 연속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 조사됐습니다.

 

그 뒤로는 한국 음식(13.2%), 드라마(7.0%), 정보기술(IT) 제품/브랜드(6.3%), 미용(뷰티) 제품(5.2%) 순이었습니다.

 

한국 문화콘텐츠를 접한 후 한국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비율은 66.1%로 나타났으며, 이어 ‘변화 없음’이 30.1%, ‘부정적으로 변화’가 3.8%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별로는 아랍에미리트(85.9%), 인도(85.3%), 베트남(84.7%) 등에서 긍정적 변화가 컸고, 일본(33.8%) 이탈리아(48.7%) 등이 낮게 나타났습니다.

 

다만, 한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32.6%가 동의한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사유로는 ‘지나치게 자극적/선정적(24.9%)’, ‘획일적이고 식상함(22.0%), ‘지나치게 상업적(21.1%)’ 등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또, 한류 경험자 절반 이상이 50.7% ‘향후 한국산 제품/서비스를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품/서비스별로는 식품이 64.7%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 방문(61.8%), 음식점에서 식사(61.4%), 화장품(54.0%), 의류 구매(52.8%) 등도 높은 소비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케이-콘텐츠 해외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합니다.

 

문체부는 콘텐츠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해외비즈니스센터를 25개소까지 확대하고, 일본에는 콘텐츠 기업들이 입주할 수 있는 기업지원센터도 신설합니다.

 

이와 함께 최근 중동 내 케이-콘텐츠 관심 상승과 한국 제품/서비스 구매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만큼 한국문화를 상시 홍보할 수 있는 상설 홍보관 ‘코리아(KOREA)360’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개설할 예정입니다.

 

또한 케이-콘텐츠 소비가 연관 사업 소비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올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한류 문화콘텐츠와 연관산업을 함께 선보이는 ’케이-박람회’를 개최할 계획입니다.

 

한편 문체부는 중국 현지에서 ‘케이(K)-관광 로드쇼’를 열고 중국 방한객 유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문체부는 지난 7월 중국의 한국 단체 관광 재개 이후, 중국 방한 관광객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3월 말경엔 올해 중국인 방한객 수는 총 100만여 명에 육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문체부는 ‘케이-관광 로드쇼’ 개최를 통해 올해 여름 관광을 겨냥해 중국 현지에서 여행업계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한국 관광 마케팅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중국 ‘칭다오’와 ‘광저우’ 등 중국 현지에서 진행됐으며, 현지 여행사와 온라인여행플랫폼 등 100개 기관 대상으로 한국 관광 마케팅, 케이-콘텐츠 연계 개발 맞춤형 상품 소개 등 중국 방한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활동이 진행됐습니다.

 

박종택 문체부 관광정책국장은 “중국인 해외여행 시장이 청년(MZ)세대 중심, 쇼핑에서 문화 체험으로 변하는 관광 추세에 따라 다양한 수요에 맞출 수 있도록 특수 목적∙개별 관광 상품을 다양화할 계획”이라며 “향후 중국 방한 관광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고부가 관광 시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저가 덤핑 관광, 강매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법∙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