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자산 대비 대출 비중 여전히 60%대 유지
▷1%대 진입한 연평균 성장률..."대출수요 감소 초래할 것"
▷전문가, 대출 의존도 줄이고 비이자 수익 확대 방안 제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국내은행의 대출위주 수익 창출 전략에 한계점이 도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향후 실물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는 등 대출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은행권이 대출 의존도를 줄이고 근본적인 전략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국내 은행이 거둔 총이익 가운데 이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88.6%에 달했고 이 중 상당 부분이 대출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은행의 총자산 대비 대출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이 마무리 된 2002년 50%를 넘어선 뒤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2020년 63.6%까지 올랐다. 이후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60%대를 유지하고 있다.
◇한계에 직면한 대출중심의 은행 수익모델
국내 은행권의 대출 위주 수익창출 전략에 한계점이 도달했다는 배경에는 우호적이지 않은 실물경제 여건이 자리잡고 있다.
실제 경제개발이 시작된 1961년부터 외환위기가 터진 199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9.4%에 달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거친 1999년부터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까지는 6.3%로 하락했다.
코로나 19가 발생한 2020년부터 2024까지는 2%로 떨어지는 등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줬다. 정부가 연초에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올해와 내년에는 연평균 성장률 1% 진입이 전망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실물경제 성장률이 낮아진다는 것은 기업의 투자와 가계 소비 위축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런 환경에서는 기업이 돈을 빌러 사업을 확장하거나 가계가 주택담보대출 등으로 소비를 늘리는게 어려워져 은행의 대출 증가세가 둔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도 은행의 대출 중심 수익 모델에 부담 요인이다. 대출은 결국 소비를 늘리는 사람들의 숫자에 달려있는데, 인구 감소는 생산가능 인구(15~64세)로 이어져 신규 주택 및 기업 대출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일본은 인구 감소로 장기 저금리와 대출 수요 둔화를 경험했다.
고령화가 진전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고령인구 비율은 2036년에 30%를 넘어서는 등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고령층은 젊을 때 벌어놓은 돈이나 연금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미래에 벌 소득을 미리 당겨쓰는 필요성이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이자 수익 증대 등 근본적인 변화 추진해야
전문가들은 은행권이 수익창출에서 대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비이자 수익을 확대하고 고령화 시대에 맞춘 신탁·자산운용 등을 확대하는 등 근본적인 전략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비이자수익 증대는 단순히 경기변동성이 높은 이자수익 비중을 줄여 안정적인 이익을 확보하려는 차원을 넘어 향후 대출 수요 강소 등에 따른 이자수익 축소에 대비한 전략 변화 차원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수료 수입 제고, 벤처투자 활성화, 중소기업에 대한 회계·경영자문·컨설팅 확대 등 비이자수익원을 발굴해야 한다"며 "특히 인구 고령화를 대비한 신탁·자산운영 비지니스 확대도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금융당국의 제도개선 △성장률 높은 국가로의 진출 확대 등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한국금융연구원 "과도한 카드수수료 규제...시장 비효율 초래해" (0) | 2025.02.14 |
---|---|
영세·중소가맹점 카드수수료 인하...14일부터 적용 (0) | 2025.02.13 |
기업은행 노조 "국세청, 조세 정의 외면치 말라" (0) | 2025.02.12 |
[현장스케치] 추위에도 거리로 나선 주주들 (1) | 2025.02.11 |
“소수가 저지른 잘못을 다수에게 전가하는 게 사회 정의냐”…울분 토한 주주들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