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韓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위험 커져
▶2100년경에는 20세기 후반 대비 최대 158%까지 상승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올해 초 미국 로스엔젤레스(LA)에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산불재난에 대한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역시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구를 통해 2100년경 한국의 산불위험은 20세기(1971~2000년) 후반 대비 최대 15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산불위험 예측 결과는 국립산림과학원과 전남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등이 협력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연구를 수행한 결과다.
연구에는 강수량, 기온, 풍속 등 기상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예측된 산불기상지수를 이용해 산불위험도를 평가했다.
연구진은 한반도의 기온이 1.5~2.0℃ 상승할 경우, 겨울철 산불기상지수의 상승이 가장 뚜렷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로 인해 봄철 산불위험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1981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에서 발생한 산불 통계 분석 결과, 연간 산불 발생 일수와 산불 발생 건수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연중 산불위험 시기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월, 국립산림과학원은 ‘2025 산림·임업 전망대회’를 개최하며, ‘첨단 과학기술의 접목을 통한 더 정확한 산불재난 예측’을 주제로 특별 세션을 마련했다.
세션 토론자 정지훈 세종대학교 교수는 “기후변화로 인해 산물위험이 상승하는 이유는 많은 양의 강수가 특정기간에 집중되고, 그 외의 기간에 더욱 건조해지는 극단적인 기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수정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연구사는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위험 변화 연구를 학계 및 부서 간 연구 협업을 통해 지속하겠다”라며 “앞으로도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을 통해 산불위험을 미리 예보하고, 산불 예방을 위한 대국민 홍보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증발달장애인 사지로 내몰아"...장애인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자립지원법안 폐기 촉구 (0) | 2025.02.11 |
---|---|
與 '포털뉴스 공정성 확보' 세미나 개최... “제평위 100% 정량 평가 심사 도입 필요” (0) | 2025.01.14 |
이주영 의원, 비만법 제정과 비만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0) | 2025.01.09 |
비만, 건강뿐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치명적’…대책은? (0) | 2025.01.09 |
해수부, 수산물 할인행사 개최…”역대 최대 규모”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