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포털뉴스 공정성 확보 주제로 정책 세미나 개최
▶”제평위 100% 정량 평가 심사 도입 필요”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포스트 제평위(제휴평가위원회) 시대의 포털뉴스 공정성 확보를 주제로 한 정책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세미나에는 이상휘·김장겸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 위원장, 김장겸 의원을 비롯해 강명일 MBC노동조합 비상대책위원장, 김원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 사무처장, 이상근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 천영식 펜앤드마이크 대표, 권오현 변호사 등이 참석했다.
권영세 비대위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포털 플랫폼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 여론 형성의 중심이 되고 있다”라며 “그런 점에서 포털의 영향력은 권력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며, 특히 포탈 뉴스 제휴평가위원회의 경우, 운영 과정에서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지적이 끊임없이 이어져왔다”고 밝혔다.
권 위원장은 “포털 뉴스는 이윤 창출이 목적인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공정성이 생명인 언론 기사를 송출하는 이중적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포탈이 거의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가지고 언론 기사를 송출한다는 점에서 뉴스 제휴 시스템은 더욱 공정하고 더 중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라며 “만약 포털이 불공정하거나 편향적인 보도와 의도를 가진 기사들을 무분별하게 전달한다면 뉴스와 언론, 더 나아가 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포스트 제평위 시대라고 한다면 디지털 뉴스 콘텐츠가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공정성이 담보되고, 성과 구조가 투명하며, 뉴스 공급이 책임성 있게 이루어질 때 비로소 언론과 플랫폼이 상승할 수 있고 국민의 알 권리도 제대로 충족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국민의힘은 포탈 뉴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 언론의 자유를 보호하고 플랫폼 기업이 공적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입법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포털 제평위 평가 과정에서 100% 정량 평가에 의한 심사 도입이 필요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강명일 MBC노동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포털 이용 뉴스 이용자 가운데 92%가 네이버를 이용한다고 한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독점이고 시장 지배력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뉴스 제평위가 기사 어뷰징의 문제를 해결하고 음란성 광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담론을 형성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지만, 네이버가 권력을 남용해 특정 언론사를 퇴출시키고 입점하는 데 있어 정성평가를 통해 불공정하게 혹은 불투명하게 심사하는 것을 언제까지 우리 사회가 용인할지, 어떤 식으로 제도 개선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이 남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카오에서 뉴스 제휴 평가는 포털 스스로 100% 정량 평가로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라며 “정성 평가에 의해 입점 언론사를 취소 선택한다는 것은 포탈이 거대 언론들과의 공생 관계로 거대한 카르텔을 형성하는 것을 막을 수 없기에 100% 정량평가를 실시할 경우, 지금보다는 비교적 검색 제휴나 CP사 제휴에 있어서 진출입이 훨씬 더 용이하게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증발달장애인 사지로 내몰아"...장애인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자립지원법안 폐기 촉구 (0) | 2025.02.11 |
---|---|
지구촌으로 확산되는 대규모 산불의 위협…"한국도 예외아냐" (0) | 2025.02.07 |
이주영 의원, 비만법 제정과 비만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개최 (0) | 2025.01.09 |
비만, 건강뿐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치명적’…대책은? (0) | 2025.01.09 |
해수부, 수산물 할인행사 개최…”역대 최대 규모”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