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 부활 조짐과 함께 목적기반차량(PBV) 사업 성장 기대
▷특히 전기 PBV의 경제성 높이는 기술 상용화로 재조명 받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최근 공유경제의 부활 조짐을 보이면서 ‘목적기반차량(PBV∙Purpose Built Vehicle)’의 성장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6일 이호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 책임연구원은 ‘목적기반차량(PBV), 머지않은 성장 변곡점’ 보고서를 통해 “COVID-19에 따른 공유경제 후퇴로 승차공유서비스용 PBV의 성장에 대한 관심도 하락된 바 있으나, 전기 PBV의 경제성을 높이는 기술 상용화로 다시금 성장에 대한 기대가 부상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PBV는 사용 목적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계∙제작되어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이동 수단을 말합니다.
PBV 사업은 2010년대 후반 Uber 등 업체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승차공유서비스용 PBV까지 시장이 확장될 수 있다는 기대를 모았지만, 코로나 사태로 인한 공유경제의 후퇴로 큰 타격을 입은 바 있습니다.
다만, 최근 공유경제 부활의 조짐과 함께 PBV 실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 특히 전기 PBV의 경제성을 높이는 기술들이 상용화되면서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책임연구원은 PBV 시장 성장의 핵심으로 ‘by-wire 시스템’과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을 꼽았습니다.
이 책임연구원은 “‘by-wire 시스템’과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기반으로 규모의 경제 달성할 수 있어 PBV가 더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by-wire: 조향(Steer-by-Wire), 제동(Brake-by-Wire) 등에서 기계적 연결을 전기적 구성요소로 대체하는 기술
★스케이트보드 플랫폼: 주행 관련 서브 시스템을 모듈화하여 차제 하부 또는 차대에 통합하는 기술
by-wire 및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을 이용하면 차량 상부 구조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높여 다양한 상부 공간을 실현하면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고, 상부 공간의 모듈화까지 병행될 경우 승객용 PBV는 승객 공간의 노후화, 진부화를 완화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기존 PBV 도입 대상이었던 승차공유업체 또는 대규모 화물업자뿐만 아니라 중∙소규모 화물 사업자 등도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책임연구원은 “올해를 기점으로 주요 업체에서 by-wire 및 스케이트 플랫폼의 상용화를 진행할 예정으로, 이에 따라 PBV 시장도 빠르게 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새롭게 적용되는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보수적인 태도와 함께 PBV 개념 도입에 따라 일부 사업모델 상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도전과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자동차연구원, '하이브리드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주제로 제6회 자산어보 행사 개최 (1) | 2024.02.15 |
---|---|
친환경 차량인 수소차 보급 확대 나선 지자체들...보조금 3250만원 지원 (0) | 2024.02.13 |
커지는 AI의 위험에…보험업계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1) | 2024.02.05 |
과기정통부, 법률 분야 공개 간담회 개최…"전국민 AI 일상화 일환" (2) | 2024.01.31 |
지난해 생산 0.7% 증가... 소비와 투자는 부진 (1)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