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후위기 시대, 한국의 역할에 대한 NASA 전문가의 대답은?

사회/사회이슈

by 위즈경제 2024. 11. 21. 18:34

본문

▷21일 국회서 ‘기후위기 시대, 우주항공청의 역할은 무엇인가’ 세미나 개최
▷제이슨 현, “NASA, 한국과의 공동 임무 수행 기대하고 있어”

21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에서 개최된 ‘기후위기 시대, 우주항공청의 역할은 무엇인가’ 세미나(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저의 소망은 앞으로 3~4년 후 한국 카사(KASA, 우주항공청) JPL이 공동 미션을 수행하는 것이다

 

21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시대, 우주항공청의 역할은 무엇인가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진행한 제이슨 현(Jason Hyun)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수소(JPL) 수석기술책임자는 이같이 설명했다.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기후위기 시대, 우주항공청의 역할은 무엇인가’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 중인 제이슨 현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제트추진연수소 (JPL)  수석기술책임자(사진=위즈경제)


현 책임은 “JPL은 나사가 갖고 있는 유일한 연구소로 한국의 KASA KARI(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갖고 있듯이 JPL KASA KARI가 하는 일을 동시에 하는 연구기관이다라고 운을 띄었다.

 

그는 이어 “JPL은 나사에서 지구를 관측하고 있는 인공위성 중 절반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형, 바다, 대기 세 가지를 연구하고 있고 계속해서 새로운 임무들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나사에서 하는 임무들이 너무 비싸져서 국제 협력 없이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현 책임은 나사는 지금까지 프랑스나 독일, 이태리, 일본 등과 함께 많은 계획을 세우고 임무를 수행해 왔으며, 한국이 우주 기술에서 상당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나사에서도 함께 임무를 수행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 책임은 한국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인 관측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전세계에 공유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기후위기로 인해 가뭄과 홍수에 대한 영향이 커지고 있다라며 과거 대비 현재 재난재해에 사용되는 비용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지구적 관측을 통해 나은 방침을 세우고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것은 측정에는 20,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측정해야 되기 때문에 한 조직만의 힘으로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만약 한국이 온실가스 등 특정 분야에서 수집한 자료를 약 20년간 제공하겠다고 한다면 세계적으로 과학적인 위상과 함께 국가적 위상도 높아질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국민의힘 최형두, 김소희, 서천호 의원이 공동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기후위기 시대에 우주항공청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