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경영자총협회, 전국 5인 이상 563개 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 기업 규모에 따라 경기 전망 차이, 300인 미만 기업에서 비관적 응답 많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5인 이상 563개 기업을 대상으로 ‘2024 하계휴가 실태 및 경기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하반기 경기가 상반기 경기보다 악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45%로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 ‘비슷한 수준일 것’이란 응답은 43.3%, ‘하반기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1.7%를 기록했는데요.
기업 규모 별로 보면, 300인 이상 기업의 52.8%는 올해 하반기의 경기가 ‘상반기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은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45.8%를 차지하면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올해 하반기 경기를 부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는 셈입니다. 또, 올해 하반기의 경기가 상반기보다 개선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기업 규모와 상관없이 비교적 많지 않았습니다. 300인 이상 기업이 8.7%, 300인 미만 기업은 12.1%에 그쳤습니다.
올해 하반기 경제가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기업들의 전망과 관련해 ‘대출’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되는 고금리 환경 속에서 기업들의 대출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데다가, 이 문제가 쉽게 해결될 것으로는 보이지 않기 때문인데요.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중 기업의 신용위험은 일부 취약업종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3월 기준, 중소기업 전업종의 대출 연체율은 0.58%(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를 기록했는데, 건설업 1.26%, 석유화학 0.93%, 숙박 및 음식점업이 0.98%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PF 문제로 흔들리고 있는 건설업의 연체율은 전년동월대비 2배 이상 늘었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기업 대출수요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대기업은 회사채 시장 등이 안정되면서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중소기업은 대내외 경제여건 불확실성 등으로 운전자금 중심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을 놓고 보면, 올해 하반기의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한편, 하반기 채용 계획에 대해서는 규모에 상관없이 ‘상반기와 유사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다는 응답이 65.1%로 가장 높았습니다. 하반기 채용이 상반기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이 24.8%, 늘어날 것이라는 응답은 10.1% 순으로 나타났는데요. 기업 규모 별로 보면 올해 하반기 채용계획이 축소될 것이라는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33.8%)이 300인 미만 기업(23.4%)보다 10.4%p 높았습니다.
집중호우에 농산물 물가 불안... "8월이면 회복될 것" (0) | 2024.07.22 |
---|---|
[외신] 기본요금 760원 '로보택시'에, "일자리 빼앗긴다" (1) | 2024.07.19 |
2024년 부·울·경 통상진흥기관협의회 개최.. "울산 기업의 수출 적극 지원하겠다" (0) | 2024.07.18 |
[증시다트] SK이노베이션-SK E&S 합병, 'SK온' 구원할 수 있을까 (1) | 2024.07.18 |
'개인채무자보호법' 알린다... 대부업자 대상 설명회 개최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