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복현 원장 "금융권의 AI 활용도 높아져...잠재적 리스크도 유의해야"

경제/금융

by 위즈경제 2024. 7. 10. 09:12

본문

▷'금융권의 AI활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기조강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9일 서울 여의도 KFI 타워 컨퍼런스센터 그랜드블룸 1층에서 열린 '제5회 문화금융리포트 2024'에 참석해 '금융권의 AI활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위즈경제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9일 "금융권에서 AI 활용범위와 정도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잠재적 리스크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원장은 이날 문화일보가 주최한 서울 여의도 KFI 타워 컨퍼런스센터 그랜드블룸 1층에서 열린 '제5회 문화금융리포트 2024'에 참석해 '금융권의 AI활용과 향후 과제'를 주제로 진행한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원장은 "지식기반적 산업인 금융업은 데이터 중심 산업으로 다른 산업과 비교해 AI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습니다. 'AI활용 가이드'에 따르면 금융권은 현재 △신용평가 및 여신심사 △이상거래탐지(FDS) △챗봇 △맞춤형 추천 △로보어드바이저 등에 AI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AI 기술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만큼 잠재적인 리스크도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해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의 AI 활용을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데이터 결합 및 활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 결합 및 데이터 샘플링, 합성 데이터 등을 더욱 활성화 시킴으로써 AI가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망분리 규제 이후 급격히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을 금융권에 활용하는 데 제약이 있다"면서 "보안과 혁신 간 균형을 통해 AI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끝으로 이 원장은 금융회사 AI거버넌스 구축에 대해 "망분리 규제로 금융권의 전산사고가 크게 감소하는 등 금융보안 효과는 제고됐으나 급변하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합리적인 개선이 요구된다"고 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