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공식품 및 외식 물가 점검 회의' 개최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6일, 한훈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가공식품 및 외식 물가 점검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고물가라는 상황 속, 서민들에게 큰 압박으로 다가오는 가공식품 및 외식 분야의 물가를 중점적으로 점검하겠다는 겁니다.
동시에 가공식품 및 외식업과 관련된 기업들에게는 물가 인상을 억누르라는 정부의 의지가 드러난 셈인데요.
지난 5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했습니다. 이 중 가공식품의 물가 상승률은 2.0%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1월(3.2%)보다는 낮은 수치지만, 4월(1.6%)보다는 높은데요. 외식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2.8% 증가했으며, 지난 1월 이후로 꾸준히 하락세에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가공식품, 외식의 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8.7%), 전기·가스·수도(2.7%)보다는 안정된 모습입니다.
한훈 차관은 “가공식품 분야는 그간 누적된 경영비 부담과 일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6월 이후 일부 기업에서 불가피하게 제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 예로 편의점에서 취급하는 김밥, 아이스크림, 과자 등의 가격은 인상을 앞두고 있으며, 식용유, 장류, 음료류는 이미 가격이 올랐습니다.
정부는 물가 인상을 억누르기 위해 업계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훈 차관은 “업계도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적극 협조하여 인상이기 이연, 인상률·인상품목 최소화, 인하 제품 발굴 및 자체 할인행사 등을 추진하며 가격 인상의 파급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는데요.
외식도 가공식품과 마찬가지로 식재료·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경영비 부담으로 가격이 끊임없이 상승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외식 부문은 각종 공과금, 임대료 등 제품 외적인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소상공인 홀로 이를 감당하기는 어려운데요. 한훈 차관은“식재료·인력·배달앱 등 업계에 부담을 주는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함께 논의하도록 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할당관세를 확장, 연장 적용하고, 외국인 근로자 시범 도입 조건을 완화시키는 등의 방안을 발표하며, 기업에게 당부의 목소리를 건넸습니다. 한훈 차관은“가공식품·외식 업계에 가격 인상·인하 요인이 발생하는 경우 소비자가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서 가격에 반영해달라”며 기업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가공식품과 외식 분야 외에도 물가가 차츰 안정기에 접어들고 있다며 생활물가 안정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지난 21일 열린 ‘제25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수뇌부는“양호한 기상여건, 주요 작물 출하 확대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계속되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국제유가의 변동성, 이상기후 등 불안요인이 여전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여름철 수급 불안을 대비해 배추·무 등 정부 가용물량 2.8톤을 확보하고, 수산물은 어한기 대비 4,156톤의 비축물량을 공급 중에 있습니다. 석유류에 대해서는 유류세 한시 인하조치를 2개월 연장한 것에 발맞춰 버스·택시·화물차·연안화물선 등에 대한 경유·CNG 유가 연동보조금도 2개월 추가 연장하여 국민들의 유류비 부담을 경감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제조업·비제조업 모두 '내수 부진' 심각한 경영애로사항으로 꼽아 (0) | 2024.06.27 |
---|---|
증권업계, 마케팅 비용 감소 등을 이유로 목표가 일제히 '유지' (0) | 2024.06.27 |
IRC 폐지 후 반년... 1,400건 넘는 외국인 계좌 새로 개설 (0) | 2024.06.21 |
지난해 상속세 공제 금액 8,300억 육박... "역대 최대 규모" (0) | 2024.06.20 |
"소상공인 한계에 몰려...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해야"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