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항공교통량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문체부, 방한 관광객 2000만 명 달성을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 나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항공교통량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하늘길을 이용한 항공기는 전년 대비 약 44.6% 증가한 총 78만여 대(하루 평균 2,139대)로 집계됐습니다.
국토부는 “지난해 항공교통량을 집계한 결과, 코로나19 이전이던 2019년 비해 92.7%(국제선 91.6%, 국내선 95.4%) 수준으로, 지난해 8월 이후부터는 2019년 하루 평균 교통량인 2,307대를 웃돌며 항공교통량이 완전히 회복된 규모”라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국제선은 매월 평균 약 4.4%씩 꾸준히 증가했으며, 전체적으로 매월 평균 약 3.1% 상승해 ‘2022년 월평균 증가 추이인 1.6%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특히 동남아∙남중국∙일본 등 중∙단거리를 잇는 국제노선 신규 취항∙증편 등에 따라 국제선이 전년 대비 하루 평균 2배 가까이 크게 증가했으며, 전체 국제 교통량 중 약 48%가 동남아∙남중국 노선을 비행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022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국내선 교통량은 국내 여행 수요의 국제선 전환 등으로 전년 대비 약 11% 감소해 코로나19 이전 평년 수준 국내선 교통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펜트업 효과로 인천공항(82.7%↑)뿐만 아니라 청주∙김해∙대구 등 지방 국제공항의 항공교통량이 각각 31%, 22%, 43%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펜트업 효과: 외부 요인으로 인해 억제된 수요가 그 요인이 해소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
정용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올해는 역대 최대 교통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항공교통량의 변동 추이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코로나19로 막혔던 하늘길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방한 관광객 2천만 명 시대 개막과 방한 시장 다변화를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섭니다.
문체부는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은 약 1,100만 명(잠정치)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750만 명 대비 약 63%의 회복률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경우, 약 201만명이 한국을 찾아 2019년 대비 33% 회복했으며, 일본도 약 232만 명이 방한해 회복률 70%, 동남아는 77%, 유럽∙미주권은 90%의 회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울러 약 109만 명이 방한한 미국(103.6%)을 비롯한 싱가포르(141.4%), 호주(114.4%), 독일(109.9%), 프랑스(120.2%) 등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크게 웃도는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문체부는 방한 관광 회복을 가속화하고 ‘한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한국 관광’을 세계 시장에 알리기 위해 ‘한국 관광 메가 로드쇼’를 전 세계 25개 도시에서 개최하고 외국인 관광객의 성장세와 특성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해 맞춤형 밀착 마케팅을 펼칩니다.
또한 관광공사 해외지사가 없지만 항공편과 배후인구, 방한 성장세 등에서 잠재력이 있는 스웨덴과 우즈베키스탄,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등 10개국에 홍보지점을 신설해 신시장 개척에 나설 방침입니다.
2036 서울 올림픽 개최?... '흑자' 올림픽 될 수 있을까 (0) | 2024.08.13 |
---|---|
나의 성장을 위한 소비 경향 뚜렷...."외모 관리도 성장의 일부" (1) | 2024.07.25 |
지난 1월, 주요국 국채금리 오르는 가운데 증시는 순항 중 (1) | 2024.02.13 |
[외신] 청문회에서 고개 숙인 마크 저커버그... '메타' 4분기 실적은 대박 (1)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