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동산 경기 침체에...서울 아파트값 양극화 심화

부동산/부동산 일반

by 위즈경제 2024. 4. 16. 11:09

본문

▷서울과 경기·인천 간 격차도 꾸준히 확대
▷작년 영업익 437억 '41분의1' 수준으로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 침체기를 거치며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와 서울 그 외 지역 간 아파트 가격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16일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에 따르면 강남 3구와 그 외 지역 간 아파트 3.3㎡당 매매가격 격차가 2022년 3178만 원에서 2023년 3309만 원, 올해(3월 집계 기준) 3372만 원 등으로 확대됐습니다.

 

올해 강남 3구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는 6609만 원, 그 외 지역은 3237만 원이었습니다.두 지역 간 집값 격차가 2년 새 194만 원 더 벌어진 셈입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강남 3구는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으로 묶여있고 저리 대출인 신생아 특례대출 이용 등에 제한이 있지만, 집값 조정기 급매물 매입수요 유입과 시장 회복기 자산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에 힘입어 비교적 빠른 회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과 경기·인천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격차도 꾸준히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2015년 792만원이었던 두 지역 간 3.3㎡당 아파트 가격 격차는 2017년 1121만원으로 벌어졌고, 2021년에는 2280만원으로 커졌습니다.

 

그러다 2022년 하반기에는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수도권 전반의 주택매입 수요가 위축되면서 2259만원으로 격차가 감소했고, 2023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호재와 1기 신도시 등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 추진 호재 등이 힘을 받으며 2231만원으로 다시 좁혀졌습니다. 하지만 올해 1분기 들어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면서 두 지역 간 가격 차가 2261만원으로 다시 벌어졌습니다.

 

한편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2022년 대비 41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는 등 실적 쇼크 상태에 빠졌습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로 LH의 최대 수익 사업인 토지 분양에서 연체 금액이 급증하면서 재무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것입니다.LH의 ‘2023년 회계연도 결산(안)에 따르면 LH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37억 원으로 전년(1조 8128억 원) 대비 41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습니다. 이는 2009년 LH 통합 출범 이후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