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출기업 37.6%, "전년보다 경영환경 악화될 것"

경제/경제일반

by 위즈경제 2025. 2. 5. 09:57

본문

▷ 한국무역협회 1,010개 수출기업 대상 조사
▷ 고환율 부담 커... 세계경제 둔화 등 리스크 우려

(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국내 수출기업 천여 곳은 올해 경영환경이 지난해와 유사하거나 소폭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지난해 11월 25일부터 12월 9일까지 약 15일간 2023년 수출 실적 50만 달러 이상 한국무역협회 회원 1,010곳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다. 대기업 75개사, 중견기업 264개사, 중소기업 669개사가 응답했으며, 품목 별로는 기계류(15%)를 다루는 회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결과, 올해 경영환경에 대해 응답기업의 48.6%는 2024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대하였으나 나머지 37.3%는 전년대비 크게 악화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특히, '크게 악화'된다는 비중은 2.5%에 달하면서,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0.6%)을 상회했다.

 

경영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은 대기업(45.3%), 중소기업(38.4%), 중견기업(32.1%) 순으로 높았다.

 

품목 별로 보면, 화학공업제품(50.7%), 플라스틱 및 고무 가죽제품(47%)에서 악화 우려가 두드러졌다. 무선통신기기 및 부품 기업(34.6%)의 전망 역시 밝지 않았다.

 

수출기업의 2025년 국내외 투자는 소극적 기조가 이어질 예정이다. 약 60%에 달하는 응답기업이 전년도와 유사한 국내외 투자규모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국내 불확실성 증가로 투자를 축소할 계획은 22.2%에 달했다. 국내 투자 확대를 계획 중인 기업은 16.6%에 그쳤다.

 

해외 투자 역시 각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및 환율 변동성 확대에 따라 응답 기업의 21.8%가 투자 축소 계획을 밝혔으며, 확대하겠다는 기업은 19.5%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수출기업은 고환율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했다. 손익분기점 수준 이상으로 급등한 건 물론, 변동성이 커 기업의 예측가능성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손익분기점을 낼 수 있는 환율 수준에 대해 응답기업의 38.1%는 1,350원 내외로 답했으며, 그 외 31.1%는 1,300원 내외라고 응답했다.

 

수출기업의 19.6%는 세계경제 둔화를, 16.9%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따른 보호무역주의를 주요 리스크로 지적했다. 환율 변동성을 우려하는 기업도 15%에 달했다.  특히, 미국 산업정책 변화의 핵심 대상인 반도체, 자동차 등을 다루는 기업은 美 보호무역주의 확대로 인한 부담이 가장 컸다.

 

트럼프 2기 행정부로 인한 통상환경 변화에 기업들 중 27.3%는 대체시장 발굴을 고려했다. 원가절감(25.6%), 미국 외 기존 시장 집중(20.8%) 등의 응답 비중도 높게 나타난 가운데, 미국 현지시장에 집중하겠다는 기업은 4.1% 수준에 그쳤다.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 기업도 1.9%로 나타났다. 

 

수출기업은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환율 안정(28.1%), 물류 지원(15.7%), 신규시장 개척 지원(14.3%)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농수산물 등 신속한 운송이 중요한 품목은 물류비 지원 확대를, 철강과 반도체, 선박 등에선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