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당 “과세의 원칙에서 후퇴한 결정”
▷더미래 “당 정책의 일관성·신뢰성 훼손 우려”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지난 4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민주당) 대표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결정을 두고 야권의 반발이 거세다.
금투세는 국내 주식의 투자 수익이 연 5천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20%의 세금을 물리는 소득세법 개정안으로, 문재인 정부 때 통과돼 오는 1월1일 시행할 예정이었다. 이 대표가 지난 7월10일 금투세 유예 가능성을 시사해 당내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민주당은 두 차례 토론회 뒤 10월 4일 의원총회에서 당론 결정을 지도부에 위임했다.
이 대표는 지난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원칙과 가치에 따르면 (금투세 시행을) 강행하는 게 맞다"면서도 "현재 대한민국 주식시장이 너무 어렵고, 주식시장에 기대고 있는 1500만 주식투자자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폐지 방침을 밝혔다.
이에 황운하 조국혁신당 원내대표는 어제(5일) 의원총회 모두발언을 통해 민주당이 과세의 원칙에서 후퇴했다고 평가하며 “한국 주식시장의 어려움을 이해하지만 국민의힘과 같은 방식으로 응답하는 게 최선이었는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이번 결정이) 묘수였는지, 장고 끝의 악수였는지는 역사가 말해줄 것”이라며, 11월 국회 본회의에서 "조국혁신당 의원들은 전원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혜경 진보당 원내대변인은 지난 4일 “윤석열의 부자 감세를 비판한 민주당이 금투세를 포기한 것은 유감”이라며 “함께 윤석열 정부의 부자 감세를 비판해 온 야권의 정책연대에 균열을 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민주당 당내 모임인 더좋은미래는 어제 “윤 정부의 정책 실패에 따른 주가 하락, 다수 주식투자자의 입장을 고려한 당 지도부의 결정은 이해한다”면서도 “(폐지 결정으로) 당 정책의 일관성과 신뢰성이 훼손되고 자칫 소탐대실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와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을 냈다.
위즈경제가 1517명의 독자를 대상으로 지난달 17일부터 31일까지 진행한 자체 설문조사(폴앤톡)에선 응답자의 90.9%가 금투세 폐지 의견을 냈다. 개인 투자자가 국내 주식시장에서 이탈해 시장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68.6%)가 주된 이유다. 금투세 도입 찬성 의견은 10.4%로, 부자증세 및 조세정의 실현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댓글창을 통해 “금투세 포비아에서 벗어나 편한 마음으로 투자하고 싶다”, “민주당은 ‘개인독박과세’인 금투세를 폐지하고 현 정부의 주식시장 밸류업에 적극 동참하라” 등의 의견을 냈다.
야5당 “위헌계엄·내란행위 윤석열은 사퇴하라” (1) | 2024.12.04 |
---|---|
야권 "尹 담화, 분노만 키워" 한목소리 (1) | 2024.11.08 |
끝내 금투세 폐지 결정한 민주당…엇갈리는 찬반 논쟁 (4) | 2024.11.05 |
한-체코 국방차관회담 개최... "방산협력 강화" (1) | 2024.10.16 |
트럼프 공포(Fear of Trump)는 어떤 결과를 낳는가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