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8%... 향후 전망은 '불안'

경제/경제일반

by 위즈경제 2024. 2. 2. 10:22

본문

▷ 농축수산물 전년동월대비 상승률 8.0%... 파프리카 가격 전월보다 43.4% 올라
▷ 6개월 만에 2%대로 돌아왔지만.. 한국은행, "상방요인과 하방요인 혼재되어 있어 불확실성 크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의 ’2024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7월 이후, 6개월 만에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로 돌아왔습니다. 전년동월대비 물가 상승에 가장 많이 기여한 건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입니다.

 

순위 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가 5.9%, 의류·신발 5.8%, 기타 상품·서비스 4.8%, 음식·숙박 4.1%, 가정용품·가사서비스 3.1% 등의 순으로, 교통(-0.3%)을 제외한 모든 부문의 물가가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품목 성질 별로 보면, 상품 중에서도 농축수산물의 상승세가 비교적 매섭습니다. 상품은 전체적으로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3.1% 올랐는데, 농축수산물은 각각 2.9%, 8.0% 늘어났습니다.

 

공업제품(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1.8%)과 전기·가스·수도(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5.0%)에 비해 상승폭이 큽니다. 농축수산물 중에선 전월대비 귤(23.4%), 파프리카(43.4%), 오이(30.0%), 호박(40.6%), 풋고추(24.4%) 등의 품목이 전월보다 물가가 올랐는데요.

 

예년부터 값이 황금이라는 사과의 가격은 전년동월대비 56.8% 증가하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돼지고기(-2.2%), 딸기(-4.5%), (-11.8%), 당근(-10.0%) 등의 품목은 감소했습니다.

 

서비스의 경우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2.6% 각각 증가했는데요. 집세의 경우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며, 전년동월대비 0.2% 떨어졌습니다. 전년동월대비 기준, 서비스 부문에서 가장 많이 상승한 건 개인서비스로, 3.5% 증가했습니다. 이는 공공서비스(2.2%)의 증가폭을 상회합니다.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6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지만, 향후 물가경로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습니다.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2024.1.11)’에선, 한 금융통화위원회의 위원이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소비의 더딘 회복, 예상보다 낮은 수준의 환율 및 유가, 임금상승률 둔화 등 물가의 하방 압력이 증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 전망이 지난 전망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물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1월에,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6%로 둔화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는데요. , 물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왜 물가가 쉽게 안정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입니다.

 

한국은행 관련 부서는 이에 대한 답변으로 유가와 환율 흐름, 내수 부진 등이 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농산물가격이 예년보다 높은 상승률을 이어가고 지정학적 불안요인이 상존하는 가운데 누적된 비용압력의 파급효과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물가 전망을 기존과 같이 유지하면서 향후의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물가의 하방요인 만큼이나,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 또한 많다는 겁니다. 다른 일부 위원은 국내 물가에 상황에 대해, 수요보다는 공급충격이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는내수가 부진하고 경제 내 유휴생산능력(slack, 경제적 생산능력 중에서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상당한 경우 추가적인 수요 증가가 물가에 미치는 민감도가 낮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말인 즉, 내수가 부진하고 생산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물가는 수요보다는 공급에 더 예민하게 반응한다는 이야기입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曰 우리 경제의 내수가 예상보다 부진한 점을 고려하면, 수요 증가가 물가 둔화 추세를 바꿀 정도로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다만, 비용압력이 초기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데다 기대 인플레이션도 여전히 높은 점 등 물가의 상방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어 향후 물가 경로 추이를 유의해서 살펴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의 경우, 누적된 비용압력의 파급효과와 같은 상방요인, 유가 하락 등 하방요인이 혼재되어 있어 전망의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했습니다.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소비에 대한 우려의 이야기도 오고 갔습니다. 민간소비에 대해선 자영업자의 폐업 상황 등을 고려하면 하방리스크가 커 보이고,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팬데믹 이전의 예년 평균을 상당폭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는 등의 내용을 논의했는데요.

 

한 위원은 특히, 주력 소비 연령대인 40대 미만의 소비성향이 팬데믹을 전후하여 크게 저하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이 가게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증대에 기인한다면 앞으로도 소비가 구조적으로 제약될 수 있으므로 그 배경에 대해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간소비가 둔화되는 상황이 구조적인 문제점에서부터 기인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했습니다.

 

, 주력 소비 세대가 빚과 이자를 갚느라 소비할 여력을 잃는 게 구조화되고 있다는 걱정입니다. 이에 대해 관련 부서는민간소비 전망치가 당초 예상을 하회할 가능성이 크지만, 향후 실질소득 개선 등에 힘입어 소비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희망적인 견해를 드러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