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물가 어떻게 흘러갈까... 한국은행, "8월에는 다시 2% 초반대로"

경제/경제일반

by 위즈경제 2024. 8. 26. 15:31

본문

▷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6%, 6월보다 소폭 늘어
▷ 한국은행, 상향식 머신러닝 기법 등으로 단기 물가 흐름 예측
▷ 8~9월, 기저효과 힘입어 물가 하락세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통계청의 ‘2024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2.4%)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소폭 늘어난 모습이다.

 

최근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은 농축수산물, 전년동월대비 가격이 5.5% 상승하며 다른 품목 대비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러한 물가 상황에 대해, 한국은행은근원물가를 중심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하면서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면서도, 개별 품목 물가상승률의 분포의 경우 과거 물가안정기에 비해서는 여전히 다소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물가상승률이 기존보다 양호해졌다고 하여, ‘물가안정기라 속단할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한국은행이 품목별 예측을 바탕으로 상향식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소비자물가를 예측한 결과, 7월중 소폭 반등했던 상승률이 8월에는 다시 2% 초반대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에는 2.0% 내외 수준으로 둔화할 것으로 머신러닝 모델은 예측했다. 특히, 근래 물가 상승을 견인했던 농축수산물 가격이 8월에 접어들어 점차 둔화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한국은행은 예측의 이유로서 유가와 농축수산물 물가의 기저효과를 언급했다. 품목별로는 석유류가 8~9, 농축수산물은 8~10월 기저효과가 커, 당분간 소비자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석유류의 경우, 지난해 연말 유가하락 등이 반대 방향의 기저효과로 작용하여 물가 안정 흐름을 다소 방해할 수도 있다고 한국은행은 짚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은행은 향후 국내 물가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흘러갈 것이라 전망했다. 공급충격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한, 목표 수준(2%)을 향한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물가의 불안요인으로서 지정학적 정세, 기상여건, 공공요금 인상 시기·폭 등을 언급했으며, 농산물과 석유류 등 비근원품목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위험도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