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외신]난항 겪는 혼다의 무인 택시 사업, 이유는?

산업/산업 일반

by 위즈경제 2024. 7. 5. 15:25

본문

▶일본 최초 무인택시 상용화 나선 혼다...난관 봉착
▶크루즈와 합작회사 설립 지연, 자율주행 개발의 어려움 등의 영향

(출처=혼다코리아 페이스북)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일본 최초로 무인택시(로보택시) 상용화에 나선 혼다가 시작 전부터 난관에 봉착했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도요게이자이는 5일 '혼다, 일본 최초 무인 택시(자동 운전 택시)에 감도는 암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제하고, 혼다가 혼다와 GM 크루즈의 합작회사 설립 지연, 자율주행 개발의 기술적 어려움 등의 이유로 로보택시 서비스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혼다는 지난해 10월 제너럴모터스(GM) 자회사인 크루즈와 올 상반기 합작회사를 설립하고 2026년 초 일본에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혼다는 완전자율주행차인 '크루즈 오리진'을 활용해 2026년 도쿄 도심에서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었으며, 혼다의 미베 토시히로 사장은 "일본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고, 가장 다채롭고 주행 난이도가 높은 장소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 여기서 고객에게 높은 만족감을 선사한다면 다른 도시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혼다와 크루즈의 합작회사 설립 지연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어려움 등 문제가 겹치면서 혼다의 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있습니다. 

 

도요게이자이는 우선 합작회사 설립 지연의 원인으로 지난해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크루즈의 로보택시가 일으킨 인명 피해 사고를 꼽았습니다.

 

지난 10월 크루즈의 로보택시가 차에 치인 보행자를 6m가량 끌고 가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해당 사고와 관련해 크루즈는 캘리포니아 공공요금위원회(CPUC)에 제대로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 약 1800만엔(1억 5453만원)의 벌금을 물게 됐습니다.

 

혼다는 크루즈의 사고에 대해 일본에서의 합작회사 설립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인정하고, "(로보택시의) 안전성이 담보되고 있는지 확실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2026년 일본 내에서 로보 택시 상용화할 것이라는 기존 계획은 일정 변경없이 계속될 방침입니다. 

 

자율주행 기술 발전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 역시 혼다의 로보택시 상용화에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요게이자이는 "올해 2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구글 웨이모의 자율주행차가 자전거와 충돌사고를 일으켜, 당국이 조사에 나섰으며, 지난해 일본에서도 자율주행 실증 차량이 도로에 멈춰 있던 자전거와 접촉하는 사고를 일으켜, 개발을 진행하는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등이 약 반년간 운행을 정지했다"라고 밝히면서 자율주행기술이 복잡한 도로환경에 대응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로보택시는 교통 소외지역의 대체교통수단, 택시업계의 인력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꼽히고 있어 향후 상당한 수요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도요게이자이는"글로벌 회계 컨설팅 그룹 PwC컨설팅에 따르면 자율주행 택시가 만들어내는 수익이 2035년에는 약 70조엔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면서 "미국 테슬라와 일본 닛산 자동차 등이 자율주행 택시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