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업소득은 줄어든 반면, 임가 지출은 증가
▷ 산림청, "임가소득 향상 위해 규제 개선 등 다양한 정책 펼치고 있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산림에서 나무를 벌채하고 목재를 생산하는 임업, 산림청이 2023년 임가경제조사를 실시한 결과, 임가 가구당 평균소득은 3,783만 원으로 전년대비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업소득은 수실류(떫은감 등), 버섯류(표고 등), 기타 임산물(약용 등) 단기소득 임산물 감소로 8.7% 줄어들었고, 임업외소득 역시 전년대비 1.9% 감소했는데요.
임업소득(임업총수입에서 임업경영비 차감한 금액)이 감소한 이유는 그만큼 경영비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산림청이 2023년도 밤, 대추, 등 주요 임산물 11개 품목에 대해 생산비용을 조사한 결과, 전년 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두가 헥타르 당 1,400만 원으로 전년대비 6% 증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추가 3,752만 원(3.8%), 밤이 483만 원(3.1%), 떫은감 2,588만 원(2.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위 품목들의 생산비가 증가한 것에 대해 산림청은 “이자율 상승, 농약가격 상승, 노동임금단가 상승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참고로 증가율이 아닌 생산비 자체의 규모로 보면, 산딸기가 헥타르 당 7,674만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기자 5,732만 원, 복분자딸기 4,512만 원 순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임산물로서 소득률(생산량 X 단가 대비 소득 비율)이 높은 상위 3개 품목은 ‘호두’, ‘산딸기’, ‘떫은감’이었습니다. 이들의 생산비용을 감안하면, ‘호두’의 이점이 여러모로 돋보입니다.
한편, 줄어드는 임업소득과 달리 임가의 가계지출은 3,055만 원으로 전년대비 2.9% 늘었습니다. 조세 등 비소비지출이 전년대비 9.8%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의류·신발 등 소비지출이 4.8% 증가한 탓인데요. 그 결과, 임가의 흑자는 683만 원으로 16.7% 줄어들었습니다. 지난 2021년부터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임가의 부채는 임업용 외의 분야에서 늘어나면서 전년대비 5.5% 증가하는 한편, 임가자산 역시 4.7% 늘어났습니다. 고정자산과 유동자산 모두 증가세를 보이면서 총액은 5억 4568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선미 산림청 산림빅데이터 팀장 曰 “산림청은 올해 임가소득 향상을 위해 임업 활동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 개선 등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산림빅데이터팀은 앞으로도 정확한 통계조사를 통해 임가소득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도록 노력하겠다”
치솟는 해상물류 운임비에 '임시선박' 투입... "수출 호조세 이어가겠다" (1) | 2024.06.14 |
---|---|
일상으로 성큼 다가온 자율주행 기술...국토부, 일반 도로 임시운행 허가 (0) | 2024.06.12 |
“수원시 마을만들기 조례 폐지안은 무지의 소산”…수원 시민단체 강력 반발 (1) | 2024.05.30 |
'세균'으로 온실가스 줄인다... '메탄자화균' 분포도 높이는 기술 개발 (0) | 2024.05.29 |
국내 OTT 기업들, "어려움 극복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해"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