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중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위주 상승세.. 4.5조 원 늘어
▷ 기업대출도 증가세,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대출 증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3월에 4.9조 원이 감소하면서 하락세를 보였던 가계대출 규모가 한 달 만에 반등했습니다.
금융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4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 규모는 전월보다 4.1조 원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이 4.5조 원이나 늘어났기 때문인데요.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증가,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감소세가 둔화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세에 있습니다.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전월(-1.7조 원)보다 크게 증가한 5.1조 원의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은행 자체의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늘어난 데다가, “주택도시기금 재원으로 집행되어 가계대출 통계에는 디딤돌·버팀목 대출이 4월중부터는 은행재원으로 집행되면서 가계대출 통계에 반영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주택도시기금이 관리하는 정책대출에서 은행의 재원으로 공급하는 분량은 늘어났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중에 주택도시기금의 구입·전세자금 대출이 은행재원을 활용한 ‘이차보전’ 방식으로도 상당 부분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지난해부터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던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4월 중 1.0조 원 줄어들면서 전월(-3.3조 원)보다 하락세가 둔화되었습니다. 신협·농협·수협 등 상호금융권의 가계대출이 2.1조 원 감소한 반면, 보험과 저축은행 등의 신용대출은 증가세로 전환되었습니다.
금융위원회 曰“금리하락에 대한 기대감 지속, 주택시장 회복 가능성 등으로 인해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의 확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고 가계부채가 GDP 성장률 내로 관리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
한편, 가계대출 뿐만 아니라 은행권 기업대출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중 은행 기업대출은 11.9조 원 증가했습니다. 기업들의 자금 수요에 대해, 은행들이 기업대출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의 대출이 늘어났습니다. 4월중 6.5조 원 증가한 대기업대출은 △배당금 지급 관련 자금 수요 △분기말 일시상환분 재취급 등 운전자금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되었다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입니다. 중소기업대출은 은행들의 대출 영업 강화,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인해 5.4조 원 늘어났습니다.
4월말 기준,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약 1,284조 원 규모입니다.
시민단체들, ELS피해 전액배상·책임자 전원고발 촉구 (0) | 2024.05.23 |
---|---|
분조위, 홍콩 ELS 배상 30~65% 결정...금융사기예방연대 "상식 밖 기준" (1) | 2024.05.16 |
홍콩ELS 피해자·시민단체, "금융사기 180인 엄벌하라" (0) | 2024.04.26 |
"홍콩 ELS 차등배상 철회 청원"...5만명 돌파할까 (0) | 2024.04.23 |
[증시 다트] 한미반도체, 470억 자사 주식 소각에... 주가 상승세 (1)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