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월 소비자물가지수 2.9% 상승... '배' 가격은 102.9% 뛰어

경제/경제일반

by 위즈경제 2024. 5. 2. 10:18

본문

▷ 지난 2월과 3월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폭보다 0.2% 감소
▷ 신선과일 및 신선채소 물가, 전월보다는 안정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한풀 꺾였습니다. 그간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을 견인했던 과일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3월보다는 가격이 감소했는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월과 3월의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지수 증가폭(각각 3.1%)보다 0.2% 줄어들었습니다.

 

세부 지수 별로 살펴보면,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했으며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0.2%, 2.2% 각각 증가했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 3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전년동월대비 3.5% 상승했는데요.

 

식품의 물가는 전월에 비해선 0.5% 감소, 전년동월에 비해선 4.5% 올랐으며 식품 이외의 생활물가지수는 각각 0.3%, 3.0% 증가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신선식품지수입니다. 사과, 배 등 높은 수준의 물가를 유지하고 있는 신선채소와 신선과실의 물가는 지난 3월에 비해선 안정된 듯합니다.

 

신선채소 물가가 전월대비 5.8% 하락, 신선과실은 3.0% 떨어졌는데요. 다만, 전년동월과 비교하면 각각 12.9%, 38.7%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농축수산물의 물가 역시 전월대비 2.4% 하락한 가운데, 전년동월대비 10.6%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과일의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4월엔 뚜렷한 효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사과의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80.8%, 토마토가 39% 상승했는데, 특히 배의 물가가 무려 102.9%나 뛰었습니다. 이는 지난 3월의 전년동월대비 증가폭(87.8%)을 상회하는 규모입니다.

 

이와 관련, 정부는 각종 개선방안을 통해 물가안정에 더욱 신경을 기울이겠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4 26일에 열린 39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제19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내수회복과 민생안정을 위해 무엇보다 물가안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배추·당근 등 7종에 대해서는 5월 중 0% 할당관세를 적용하겠다고 전했습니다. 5월에 할당관세가 적용되는 품목은 배추, 양배추, 당근, 마른김, 코코아두, 조미김, 포도입니다.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 曰 가공식품·생필품 등 일부 가격인상 움직임에 대해서는 정부의 원가부담 경감 지원 등과 연계하여 관련업계가 물가안정에 동참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가되, 담합 등 불공정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겠다

 

한편, 서비스 부문에서는 보험서비스료의 상승세가 돋보입니다. 4월 기준 보험서비스료는 전년동월대비 15.1% 증가했는데, 보험서비스료는 지난 3월에도 물가가 17.9% 상승한 바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