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교육부가 디지털 기반 수업혁신 이끌 교사역량 강화에 올해 3818억 원을 투입합니다. 2026년까지 수업혁신에 의지와 전문성을 갖춘 '교실혁명 선도교사'를 3만4000명을 양성하고 교사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 연수도 제공합니다.
교육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역량 강화 지원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앞서 국회는 교사의 수업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특별교부금 예산을 3년간 확보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바 있습니다.
교육부는 2026년까지 수업혁신에 의지와 전문성을 갖춘 '교실혁명 선도교사'를 총 3만4000명까지 양성해 한 학교에 2~3명의 선도교사를 확보하고, 이들이 상호 협력하면서 학교를 변화시키도록 할 계획입니다.
선도교사 연수방식도 정책 전달 중심의 일회성 연수가 아니라 수업혁신의 가치와 방향을 함께 탐구하는 연수로 개편할 예정입니다. 선도교사 연수과정은 ‘교육과정・수업・평가 혁신, 디지털교과서 활용, 사회정서교육’ 등 학생의성장을 돕는 수업‧평가 전문성 제고 과정과 함께 동료 교사 상담(코칭) 방법 등으로 구성합니다.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 편차와 선호, 특성을 고려한 맞춤 연수를 지원합니다. 교사들은 간단한 진단도구를 통해 자신의 역량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기반해 연수를 추천받고, 연수 이력에 따라 디지털 인증(배지)도 받습니다.
연수는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하되, 올해는 2025년에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게 될 초등교사 및 중‧고등 수학・영어・정보 교과 교사 중 15만 명에 대한 연수를 우선 진행할 예정입니다.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이 학교 문화로 정착되도록 2024년 3,000개 학교를 시작으로 3년간 전체 초・중・고(1만2,000교)에 대해 찾아가는 연수를 제공합니다.
학교가 자체적으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현황·여건을 진단하고 신청하면,연수기관이 학교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과 수업사례를 제공하고, 디지털교과서가 공교육에 맞는 보조교사로서 교사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도록 합니다. 또한, 교원 업무경감을 위한 에듀테크 개발에도 8억 원을 지원합니다.
교사의 디지털 기기(인프라) 등 관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올해 디지털튜터(교사의 디지털 기반 수업을 지원하는 보조강사) 1200명을 양성하는 한편,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거점 기술지원기관(테크센터)을시범 운영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나이스에 온라인 출결시스템을 구축하고 K-에듀파인 기능을 개선하는 등 디지털 기반으로 학교 행정업무를 효율화하고, 교사가 교육 활동에전념할 수 있도록 ‘학교 행정업무 경감 및 효율화 방안’을 올해 상반기 중 수립할 예정입니다.
디지털 기반 수업・평가 혁신에 앞장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올해의 수업혁신교사상’을 신설하여 100명의 우수교사를 선정할 계획입니다.
교사상 수상자와관련 연구대회의 우수 수상자에게는 해외 선진교육 체험연수 등 다양한 성과보상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시도교육청에서도 수업혁신 확산에 기여한 교사를 선발하여 해외 선진교육 체험연수를 제공합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은 교육부뿐만 아니라 17개 시도교육청 모두 공감대를 갖고 함께 추진하는 정책으로, 앞으로도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긴밀히 협력하면서 최선을 다해 교사들의 수업혁신을 지원할 것"이라며 "교실혁명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오랫동안 계속되어 온
지식 전달 위주의 산업사회 수업방식을 학생 모두가 자신만의 질문을 하는 인공지능 시대의 수업방식으로 확실하게 전환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디지털 혁신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공감한다"며 "충실한 규원연수를 통해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교총이 지난 11일부터 4일간 전국 초·중·고 교원 22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AI디지털교과서 정책에 대한 교원 설문조사' 결과, 맞춤교육을 위해 AI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 '도움 될 것 같다'는 응답이 53.7%로 '도움 되지 않을 것 같다'(25.4%)는 응답보다 두 배 이상 높았습니다. 이는 지난해 5월 같은 내용의 설문결과보다 긍정 응답이 약 17%p 상승한 수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