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 서울시민 가구당 총자산 평균 9억 5,361만 원
▷ 주로 1인가구 및 청년에게 부채상환 위험률 집중
▷ 가구순자산도 지난해에 감소추세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서울시에 거주하는 382만 가구(740만 명)의 시민생활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서울시민 가구당 총자산은 평균 9억 5,361만 원, 연평균소득은 가구당 7,369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출의 경우 평균 9,210만 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출이 있는 1인가구 5명 중 1명은 소득대비 부채상환 위험이 큰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청년 1인 가구는 소비의 절반 이상(평균 53.7%)을 ‘전자상거래’와 ‘외식’에 할애하는 반면, 노년 1인 가구는 ‘소형 유통점’과 ‘의료’에서 주로 사용(평균 47%)했습니다.
지난 22일, 서울시는 서울시민 740만 명의 주거, 소비, 금융 패턴 등의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서울시민 라이프스타일 재현데이터’를 공개했습니다.
이번에 발표한 재현데이터의 주제는 금융과 소비패턴으로, 2022년 3분기 기준, 신용정보를 보유한 만 18세 이상 모든 서울시민들의 주민등록자료, 건축물대장, 민간3사(신용정보회사, 카드사, 통신사) 데이터의 자산, 소득, 소비 현황을 담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분석 결과, 대출이 있는 1인가구 약 62만 중 23.2%, 다인가구 약 140만 중 13.3%가 연소득대비 부채잔액비율(DTI)가 300%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시 1인 가구 10명 중 2명, 다인가구 10명 중 1명이 대출로 인한 경제적 불안한 상황을 겪고 있는 셈인데요.
부채 보유 규모는 다인가구가 1인가구를 상회하였으나, 위험률은 1인가구가 더 높은 겁니다. 가구주의 연령대 별로 살펴보면, 1인, 다인가구 모두 청년이 각각 27%, 21.4%로 부채상환 위험률이 가장 컸습니다. 그 다음이 노년(65세 이상), 중장년(40세 이상 ~ 65세 미만)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서울시의 부동산의 가격이 전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을 감안하면, 이들 부채의 대부분은 부동산으로부터 연유했을 가능성이 높은데요.
높은 부채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시민이 많은 건 비단 서울시뿐만 아닙니다. 서울시를 포함해, 지난해 전국의 가구순자산은 감소하는 모양새입니다. 가구순자산이란, 가구의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금액으로, 국민의 재정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가구순자산이 적으면 적을수록, 사람들의 경제적 불안성이 심화되어 거시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은데요.
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2023’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구순자산은 3억 9,018만 원으로 2022년(4억 2,334만 원)에 비해 3,316만 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가구의 실질 순자산은 2010년 2억 6,705만 원에서 2013~2014년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가, 지난해에 감소한 겁니다.
가치가 고정되어 있는 명목금액도 마찬가지로 2022년 4억 5,602만 원에서 2023년 4억 3,540만 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통계청은 “순자산액의 감소는 2022년에서 2023년 자산(자본+부채) 보유액이 5억 4,772만 원에서 5억 2,727만 원으로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주로 실물자산의 감소에서 기인한다”며, “같은 기간 금융자산은 3.8% 증가한 반면, 실물자산은 5.9% 감소하였으며, 실물자산 중 거주주택의 감소(-10.0%)가 가장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가구순자산을 지역 별로 살펴보면,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의 2023년 가구 순자산액(명목)은 5억 4,154만 원으로, 비수도권(3억 3,250만 원)을 상회했습니다.
12만 톤 생산해도 부족하다... 수입 고등어에 할당관세 적용 (1) | 2024.02.23 |
---|---|
[외신] 英 기업들, 주4일제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유익한 효과 장기간 이어져" (0) | 2024.02.23 |
한국은행, 기준금리 9연속 동결... "긴축 기조 유지 적절" (0) | 2024.02.22 |
2월 1일 ~ 20일간 對중국 수출 12.8% ↓ (0) | 2024.02.22 |
4개월만에 반등한 소비자들의 '금리수준전망'... "금리인하 예정보다 지연"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