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16일 내란특검 통과돼야"
▷ 진보당 "내란정당 국힘 해체"
[위즈경제] 이필립 기자 = 12.3 비상계임 44일만인 15일, 내란·외환죄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이 체포됐다. 야권은 이번 체포를 두고 일제히 환영하면서도 각기 다른 후속 조치를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의원총회에서 "윤석열 체포는 헌정질서와 민주주의 회복, 법치 실현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대한민국에 공권력과 정의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돼 다행"이라고 밝혔다.
그는 "헌법과 법률을 수호해야 할 대통령이 오히려 이를 위반한 중대범죄자"라며 16일 본회의에 예정된 내란특검법의 국회 통과를 주장했다. 이어 "국민의힘이 특검법안 발의를 지연시키는 것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며 내란특검 부결을 당론으로 정한 여당에 경고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대통령실·관저 이전 불법 의혹 ▲명품백 수수 의혹 ▲명태균 게이트 등 각종 의혹의 중심에 있는 대통령 부인 김건희씨를 언급했다. 김 대행은 "김건희씨가 내란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반드시 밝혀야 한다"며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공천개입 등 그간 은폐된 의혹도 함께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종오 진보당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이 "잡혀가는 순간에도 '법이 무너졌다'는 궤변을 늘어놓았다"며 "윤석열이 대통령직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의 가장 큰 불확실성"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과 내란공범세력을 철저히 처벌하고, 내란정당 국민의힘을 해체"해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더욱 강고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민주당 한창민 대표는 윤 대통령이 "마지막까지 추한 영상 메시지를 남겼다"며 "예상했던 일이라 놀랍지도 않다. 궤변이란 말도 아깝다"고 밝혔다. 이어 공수처의 엄정 수사와 윤 대통령 구속을 촉구하며 "경호차량 이동, 포토라인 패스로 이미 국민들이 공정 수사에 대해 매서운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