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의 적대적 M&A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에서 홈플러스 인력난 문제 제기돼
▶조혜진 변호사, "MBK 홈플러스 인수 후 투자계획 실행된 바 없어"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2015년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이후 홈플러스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사모펀드의 적대적 M&A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 발제자로 참여한 조혜진 법무법인 여는 변호사는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1조원을 투자하며, 노동환경 개선, 인력 확충, 사업 확대 등을 약속했지만, 실질적으로 MBK가 약속한 투자계획은 실제로 실행된 바 없다”라며 “이로 인해 인력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조 변호사는 “원래 10명이 일하던 것이 7-8명으로 줄어들면 다시 10명으로 채워져야 하는데 더 이상 인원이 채워지지 않은 상황에 놓여있다”라며 “이는 노동환경의 악화를 불렀고, 기존 인력 또한 더 이상 일을 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줄퇴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홈플러스 인수 후 대한민국 유통시장은 온라인 유통시장으로 제편되면서 홈플러스, 이마트 등 대형마트는 수익성 창출에 어려움을 겪었다”라며 “MBK는 홈플러스가 가지고 있는 매장 내의 부동산 지분을 처분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내왔으며, 매장을 폐업하거나 임대하는 형식으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변호사는 이어 “매장을 폐업하는 경우, 매장 직원들이 퇴사를 하거나 인근에 있는 다른 점포로 인사이동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면서 “또 인근 점포로 이동하는 직원들은 서울이나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이 아닌 경우, 출퇴근 거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자발적인 퇴사를 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현재 홈플러스 임대 형태로 운영되는 매장 역시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조 변호사는 “임대로 매장을 운영하는 경우, 임대 기간마다 홈플러스는 매장 운영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라며 “수익성이 없는 매장의 경우, 폐점 수순을 밟고 있으며, 올해부터 임대 기간이 종료된 매장 가운데 폐점하고 있고, 폐점하는 과정에서 인력도 줄고 있다”고 말했다.
나인하이어, ‘테크 인재 채용 전망 및 핵심 전략’ 주제로 웨비나 개최 (1) | 2025.01.17 |
---|---|
한컴, AI 제품 라인업 GS 1등급 획득 (0) | 2025.01.17 |
“극한 환경 속 완전 주행 입증”…현대차, 아이오닉 5 기네스북 등재 (1) | 2024.12.26 |
액트, 애플리케이션 기능 혁신 박차..."현장 의견 적극 반영해 고객 편의성 강화할 것" (1) | 2024.12.19 |
큐버스랩-건양대학교, 국방산업 발전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 체결 (4) | 2024.12.18 |